-
노래속의 역사, 역사속의 노래 1[0]
대학생신문 2001 3월 20일 부터 7회를 연재한 글입니다.
1. 부르는 사람이 주인인 노래 (128호)
노래는 목적의식적으로 부르고 다니는 주체가 있어야 보급된다. 아무리 좋은 노래라 할지라도 그것이 불려지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누군가에게 들려지고, 또 불려지길 원하면서 창작을 하기 때문에..
-
민중가요의 성립과 전개과정 6[0]
Ⅵ. 90년대 중반의 민중가요, 일상영역으로의 확장
1. 달라진 환경, 무엇이 변했는가.
① 제도의 벽을 넘어
93년 허울좋은 문민정부가 들어서자 민중운동 진영 내에도 커다란 지형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활동방식과 구조에 대한 여러 가지 견해가 존재하면서 각기 ..
-
민중가요의 성립과 전개과정 6[0]
Ⅵ. 90년대 중반의 민중가요, 일상영역으로의 확장
1. 달라진 환경, 무엇이 변했는가.
① 제도의 벽을 넘어
93년 허울좋은 문민정부가 들어서자 민중운동 진영 내에도 커다란 지형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활동방식과 구조에 대한 여러 가지 견해가 존재하면서 각기 ..
-
민중가요의 성립과 전개과정 5[0]
Ⅴ. 80년대 말, 90년대 초 대학과 대학문화공간 속의 민중가요
1. 대중문화공간으로의 대중화
1) 노래를 찾는 사람들
84년 노래모임 새벽에 의해 민중가요의 첫 번째 음반 ‘노래를 찾는 사람들’이 대중문화공간의 미조직 대중들에게 발표..
-
민중가요의 성립과 전개과정 5[0]
Ⅴ. 80년대 말, 90년대 초 대학과 대학문화공간 속의 민중가요
1. 대중문화공간으로의 대중화
1) 노래를 찾는 사람들
84년 노래모임 새벽에 의해 민중가요의 첫 번째 음반 ‘노래를 찾는 사람들’이 대중문화공간의 미조직 대중들에게 발표..
-
민중가요의 성립과 전개과정 4[0]
Ⅳ. 80년대 말에서 90년대 초, 노동가요의 본격적 출발
1. 87년 항쟁과 80년대말 민중가요의 급성장
87년 6월 시민항쟁과 7,8,9월 노동자 대투쟁으로 5공화국은 종말을 맞이하고, 87,88년부터 시작하여 90, 91년 경에 마무리되는 이 시기에 민중가요는 두 개의 대중화를 실현한다. 그 ..
-
민중가요의 성립과 전개과정 4[0]
Ⅳ. 80년대 말에서 90년대 초, 노동가요의 본격적 출발
1. 87년 항쟁과 80년대말 민중가요의 급성장
87년 6월 시민항쟁과 7,8,9월 노동자 대투쟁으로 5공화국은 종말을 맞이하고, 87,88년부터 시작하여 90, 91년 경에 마무리되는 이 시기에 민중가요는 두 개의 대중화를 실현한다. 그 ..
-
민중가요의 성립과 전개과정 3[0]
Ⅲ. 80년대 중반 민중가요의 변화
1. 84년과 85년이라는 시기
‘시의 시대’에서 ‘소설의 시대’로 단조 행진곡을 중심으로 단조 스탠다느풍의 서정가요가 보족적 위치를 차지한 80년대 초 민중가요의 변화를 보이는 이 시기는 비단 민중가요뿐 아니..
-
민중가요의 성립과 전개과정 3[0]
Ⅲ. 80년대 중반 민중가요의 변화
1. 84년과 85년이라는 시기
‘시의 시대’에서 ‘소설의 시대’로 단조 행진곡을 중심으로 단조 스탠다느풍의 서정가요가 보족적 위치를 차지한 80년대 초 민중가요의 변화를 보이는 이 시기는 비단 민중가요뿐 아니..
-
민중가요의 성립과 전개과정 2[0]
Ⅱ. 광주항쟁과 80년대 초반의 민중가요
1. ‘80년, 민주화의 봄’이라는 시기
70년대의 마지막이자 80년대의 시작이 바로 ‘80년의 봄’이었다.
‘80년대의 봄’ 민주화투쟁과정을 통하여, 70년대 후반의 민중가요가 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