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 노동자, 우리 안의 또 다른 나[0]
이주노동자, 대한민국에 오다.
1988년,한국올림픽을 개최하면서 급격한 경제성장과 함께 한국인의 생활양식도 향상되었지요.
한국사회는 산업을 지탱하기 위해한국인이 기피하는 3D업종에이주노동자들이 한국으로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
-
[이주민 이야기마당] 이주노동자의 迂餘曲折(우여곡절)[0]
불법인 사람은 없습니다. 오늘도 전국 곳곳에서 수많은 이주노동자들이 폭력적 감시와 탄압에 숨조차 제대로 못 쉬고 있습니다. 정부는 출입국관리소를 앞세워 반인권적이고 폭력적인 불법 단속을 자행해 온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닙니다. 공장주나 주택주 허락도 없는 무단침입, 토끼몰..
-
<2011지역운동포럼 in 수원> 전체 프로그램 안내[0]
-
(모집) 다문화 다국적 노래단 “MONTANT (몽땅)” 신입단원 공개모집[1]
다문화 다국적 노래단 “MONTANT (몽땅)” 신입단원 공개모집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사회적기업 노리단이 함께 만드는
다문화 다국적 노래단 " MONTANT (몽땅)”에서 단원을 모집합니다.
“..
-
<준비56호> 해고 노동자, 가족들의 치유와 위로의 공간 '와락센터'[4]
해고 노동자, 가족들의
치유와 위로의 공간 ‘와락센터’
지금 이 소개글을 쓰고 있는 순간, 두통의 전화를 받았습니다.
꽤 늦은 시간 한 해고자가 전화를 걸어왔어요. “재수씨, 저... 지금 하고 있는 상담에 제가 참여해도 될까요?” ..
-
줄어들지 않는 비정규직, 해소되지 않는 임금격차[5]
줄어들지 않는 비정규직, 해소되지 않는 임금격차
- 2011년 8월 비정규노동통계
통계청의 2011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 원자료를 한국비정규노동센터 고용형태 분류기준에 근거하여 재분석..
-
일본의 고용 현황과 고용정책의 과제 - 고카 카즈미치[0]
* 가나자와 대학의 고카 카즈미치 선생께서 최근에 쓰신 글이라며 보내주셨다.
대지진 참사 이후 일본의 고용상황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하면서도 정책적
시사점 또한 크다는 생각에 옮겨 둔다.
일본의 고용 현황과 고용정책의 과제
고카 카즈미치(伍賀一道)
1990..
-
11월[0]
11월에 첫 시작이 굉장히 우울하다... 김진숙 동지는 300일이라는 시간동안 온몸으로 이땅에 노동자와 먼저 떠나보낸 열사들을 위해자본에 저항하는 삶을 살고 있는데 나는 제 발로 자본의 노예가 되어 살고있다. 참 한심하기 그지없다.
책은 읽으면 읽을 수록 어렵고 뭔가 글다운 글을? 써보려..
-
돌봄노동자 노동권·건강권 쟁취를 위한 제2회 전국돌봄노동자대회[2]
오늘은 돌봄노동자 노동권·건강권 쟁취를 위한 제2회 전국돌봄노동자대회가 서울역 광장에서 있다.
작년보다는 더 많은 이들이 모일까. 오늘의 집회를 조직하기 위해수많은 기획팀 회의가 있었다. 물론 사회서비스 공대위의 성원으로 처음에 조금 참여하다가 사회서비스 사업..
-
시간의 주인이 되자; 비표준적 노동시간의 정치경제학적 의미와 영향[0]
#1. 서울시장 선거가 끝났다. 제도권의 선거에 그닥 관심도 없는데 이번에는 마뜩치는 않았지만 투표를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고강력하게 '그 사람은 안 된다'는 생각을했던 것 같다.왜 이런 생각이 들었을까 차근히 고민해볼..